위키사전에서는 다음과같이 32비트를 정의한다.
컴퓨터 구조에서 32비트 정수, 메모리 주소, 다른 데이터 장치들은 32 비트 너비의 영역을 갖는다. 또, 32비트 CPU, ALU 구조는 이러한 크기의 레지스터, 주소 버스, 데이터 버스에 기반을 두고 있다.
32비트는 또한 중앙 처리 장치의 버스(BUS)가 32비트 단위로 자료를 전송하는 컴퓨터 세대를 가리키기도 하며 이를 32비트 컴퓨터라고도 부른다.
32비트에 저장할 수 있는 정수 값의 범위는 0부터 4,294,967,295, 또는 −2,147,483,648부터 2,147,483,647까지이다. (2의 보수 변환 사용시) 그러므로 32비트 메모리 주소를 갖는 프로세서는 바이트 어드레싱을 할 수 있는 4 GB 메모리에 접근할 수 있다.
외부 주소와 데이터 버스는 32비트보다 크지만 프로세서에서 내부적으로 32비트로 처리한다. 이를테면 펜티엄 프로 프로세서는 32비트 기기이지만 외부 주소 버스는 36비트가 되며 외부 데이터 버스는 64비트가 된다.
그리고 메모리주소는 다음을 정의한다.
컴퓨터 과학에서 메모리 주소는 메모리 위치에 대한 식별자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하드웨어 장치가 데이터를 저장하고 나중에 이를 가져오는 장소이다. 일반적으로 이는 이진 형태의 숫자로 되어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절대 주소는 메모리 위치를 식별하는 메모리 고유 주소이다. 즉, 기억장치 고유의 번지로서, 기억장치 중 기억장소를 직접 숫자로 지정하는 주소역할을 한다. 기계어 정보가 기억되어 있으며, 1,2,3,4…와 같이 16진수로 약속하여 순서대로 결정한다. 반면 상대 주소는 고유 주소가 아니며, 특정 영역에 상대적인 주소를 지정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입장에서 메모리를 액세스 할 때, 무한정의 주소값을 취급할 수 없다. 따라서 정해진 비트수를 정해야 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가 4비트로 시작하여 진화 하면서 주소 공간도 확대 되었다. 각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고유의 주소 공간을 갖는다. 이것이 주소 버스로 표현 된다. 어느 경우는 복합적인 메모리 구조를 갖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8비트와 32비트 일반적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주소표시 공간이 고정 된다.
출처는 위키백과사전...
'프로그래밍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GPL, LGPL 라이센스 차이 (0) | 2014.05.08 |
---|---|
explicit (0) | 2011.04.12 |
템플릿 메타프로그래밍 (0) | 2011.04.10 |
인스턴스 (0) | 2010.04.28 |
링크드리스트 (0) | 2010.01.23 |